-원희룡 지사는, 보안법 철폐를 주장하는 등 박원순 서울지장과 같이 사상이 삐딱한
놈이다. 절대 대통령이 되어서는 안 되는 놈들이다. 지딴에는 야권표도 흡수 '1+1' 효과로 지지율을 높이려는 것 같으나 천만에다. 대표정당
새누리당 브랜드로 지사에 당선되었으면 그 노선을 저버리면 배신행위로 절대 금물이다. 그런 계산은 '머리 좋은 바보'들이 흔히 저지르는 생각일
뿐이라는 것을 곧 알게 될 것이다.-
나바모 생각
-신문기사-
남경필·원희룡의 '마이웨이'… 與,
제지 나서나
입력 : 2014.07.19 07:42
[경기·제주 잇단 '野와
협치']
南 '생활임금' 일부 수용 시사… 元,
해군기지 정당성 재검토 주호영 "黨 정체성 흔들린다면 중앙당이 개입할
수밖에"
새누리당 남경필 경기도지사와 원희룡 제주지사가 6·4 지방선거 공약으로 내걸었던
'야당과의 협치(協治)'가 윤곽을 드러내고 있다. 경기도는 최근 야당이 주장하는 생활임금제를 일부 받아들이기로 했고, 제주도는 첨예한 이념
대결로 번진 강정마을 문제에 대해 야권과 시민단체의 주장을 받아들여 진상조사를 하겠다는 입장이다.
그러나 새누리당 일각에선 "두
사람이 '쇄신파'란 이름으로 보여줬던 이미지 정치의 부활"이라며 "당의 정체성을 흔들 수도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남경필 "생활임금 일부 수용"…與 "철학의 문제"
경기도는 최근 김문수 전 경기지사 때 대법원에 제기한
'생활임금조례' 등 4개 조례에 대한 재의결 무효확인 소송을 취하하기로 했다. 야당이 다수인 경기도의회가 생활임금제 조례를 끝까지 밀어붙이자,
김 전 지사는 퇴임하는 날(6월 30일)인데도 "도지사의 권한 밖의 문제로 상당한 재정 소요가 예상된다"며 대법원에 조례 무효확인 소송을
냈었다. 생활임금제란 지자체에서 일하는 근로자 및 하도급 근로자들에게 최저임금보다 30~50% 정도 많은 임금을 보장해주는 제도다. 경기도
관계자는 "생활임금제는 야당의 주장을 100% 수용할 수는 없지만, 예산이 허락하는 안에서 임금을 조정해줄 것"이라고
말했다.
-
남경필 경기지사는 또 "예산 규모 400억원 이상, 직원 100명 이상인 경기도시공사,
경기신용보증재단의 책임자 등 빅4에 대해서는 야당이 요구하는 인사청문회를 검토 중"이라고 말했다. 야당이 추천한 인사를 정무부지사로 기용하는
문제는 막판 협상 중이다.
새누리당은 이에 대해 공식적으로는 "지자체가 알아서 결정할 문제"란 입장이다. 하지만 한 최고위원은
"최저임금제도 제대로 지켜지지 않고 있는 상황에서 공공기관에서 일한다는 이유로 최저임금보다 높은 생활임금을 받는다는 것이 과연 옳은 일인가"라며
"이건 원칙의 문제이지 타협의 문제가 아니다"라고 말했다. 한 수도권 의원은 "인사청문회의 도입 취지는 이해하지만, 야당이 다수인 도의회의
검증을 넘을 수 있는 사람이 과연 얼마나 되겠느냐"며 "보기에는 멋있어도, 앞으로 행정을 해나가는 데 있어 상당한 걸림돌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경기도 관계자는 "도의회에서 야당이 3분의 2를 차지하고 있는 상황에서 일부 양보하는 협치는 피할 수 없는 선택"이라며
"인사청문회는 신상 털기식이 아니라, 여야 간에 새로운 모델을 만들 계획"이라고 말했다.
◇원희룡 "강정마을 진상 조사"…與 "너무
나갔다"
원 지사는 지난 1일 취임식에서 "강정마을회가 중심이 돼 제주해군기지 진상 조사를 하고, 잘못된 부분이 발견되면 사과와
보상을 추진할 것"이라고 했다. 지난 14일에는 청와대를 방문해 건의서를 내고 "제주해군기지 건설은 절차적 정당성을 상당 부분 상실한 채
진행되고 있다는 공감대가 크다"고 밝혔다. 원 지사는 취임 후 제주환경연대 대표를 지낸 이지훈(53)씨를 제주시장에 임명했고, 시민단체와 야당의
의견을 수용해 중국 자본이 투자된 대규모 개발사업들에 제동을 걸기도 했다.
이에 대해 새누리당 핵심 관계자는 "원 지사가 강정마을
문제를 가지고 청와대에 건의서까지 낸 것은 '너무 나갔다'는 우려가 당내에 있다"며 "강정 해군기지 건설은 취소할 수 없는 국가사업"이라고
말했다. 그는 "본인의 '대권 플랜'에 따라 움직인다는 느낌이 든다"고도 했다. 이에 대해 제주도 관계자는 "해군기지 문제는 절차의 문제점을
따져보자는 것이지, 취소하자는 것이 아니다"며 "중국 투자 문제도 이제 우량 자본을 가려서 받자는 뜻"이라고 말했다.
새누리당
주호영 정책위 의장은 "경기도와 제주도의 협치(協治) 시도는 긍정적으로 평가한다"면서도 "그렇지만 당의 정체성을 흔드는 결정이 나올 경우엔
중앙당이 개입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