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자는(도덕경)에서 이르기를!.
"죄악 중에 탐욕보다 더 큰 죄악이 없고 재앙 중에는
만족할 줄 모르는 것 보다 더 큰 재앙이 없고

"허물 중에는 욕망을 채우려는 것 보다
더 큰 허물은 없느니라" 라고 했다.

그놈의 탐욕, 노탐과 노욕이 뭐 길래
우리들의 인생말년을 망치곤 하는가.

보지 않아도 좋은 것 보지 말라고
우리들의 시력은 서서히 어두워지고

듣지 않아도 좋은 것 듣지 말라고
우리들 청력도 가물가물해지고

말하지 않아도 좋은 것 말하지 말라고
늙으면 말수가 적어지는 것도

먹지 않아도 좋은 것 먹지 말라고
식욕이 떨어지는 것, 모두가 신의 섭리 아니던가.

그래서 인생 일흔 줄에는 항상 자제와 절제,
모든 일에 지나침이 없어야하지 않던가.

돈이나 재산, 지위나 명예
더 욕심 말고 이제는 다 잊고 살면 되고

허망한 꿈이나 못 이룬 한(恨)
이제는 접고 살아도 부끄럽지 않다.

술이나 좋은 음식을 즐기는 식탐(食貪)도
성인병의 원인이 될 뿐이다.

예(禮)- 예를 지켜 법도를 넘지 않음을 알아야 하고
의(儀)- 스스로 나서지 않음을 알아야 한다.

염(廉)- 청결하여 사악함을 감추지 않아야 하고
치(恥)- 잘못을 쫓지 않는 부끄러움을 알아야 한다.

주책과 인색만 있고 존경과 명예가 없는 늙음은
무관심과 냉소의 손가락질만 있을 뿐이다.

소외되고 외롭다는 푸념도
어쩜 우리들 스스로 자초한 것 아닌가.

노욕과 노탐 버리고 맑고 밝은 마음일 때
우리는 존경받고 우러러 보는 원로가 될 수 있다.

고운 심성, 바른 교양으로 살아야
멋진 할아버지. 할머니가 될 수 있지 않겠는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