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있으나 개구리가 없는 것이 인생의 한이다.
위의
글은 이규보(李奎報1168~1241)가 몇 번의 과거에 낙방하고, 초야에 묻혀 살 때
집 대문에 붙였던 글이다.
王이 하루는 단독으로 야행을 나갔다가 깊은 산중에서 날이 저물었다. 요행히 民家를 하나 발견하고
하루를 묵고자 청하였지만 집 주인(이규보)는 .. 조금 더 가면 주막이 있을 것이다 ..하며
거절하였다
왕은 할 수 없어 발길을 돌리게 되었는데, 왕은 이규보의 집 대문에 걸려 있던 글이 매우 궁금하였다.
특하 개구리가 무엇인지? ... 이에 왕은 다시 그 집으로 가서 사정사정한 끝에 하룻밤을 묵어 갈 수 있었다.
왕이 잠자리에 누웠지만, 집주인의 글 읽는 소리에 잠은 안 오고 왕은 주인에게 찾아가 " 有我無蛙, 人生之恨"의 의미를
물었다.
집주인은 다음과 같이 대답하였다. 옛날에 노래를 잘 하는 꾀꼬리와 목소리가 듣기 거북한 까마귀가 살고 있었다.
하루는 까마귀가 꾀꼬리에게 내기를 걸었다. 바로 3일 후에 노래 시합을 하자는 것이었다.
두루미를 심판으로 하고서... 꾀꼬리는 어이가 없었지만 시합에 응하고, 노래 연습에 더 열중하였다.
그러나 반대로 까마귀는 노래 연습은 하지 않고 온두렁에서 개구리만 잡으러 돌아 다녔다.
그리고 잡은 개구리를 두루미에게 가져다 주고 뒤를 부탁하였다.
3일 후 꾀꼬리와 까마귀가 노래를 한 곡씩
한다음 꾀꼬리는 자신이 있었지만, 결국 심판인 두루미는 까마귀의 손을 들어
주었다.
이 말을 들은 왕은 .. 자신도 과거에 여러번 낙방하고 전국을 또도는 떠돌이인데 며칠 후에 임시과거시험이 있다고
해서 개성으로 올라가는 중이라고 거짓말하고 궁궐에 돌아와 임시과거를 열 것을
명하였다.
이규보도 뜰에서 다른
사람들과 같이 마음을 가다듬으며 준비를 하고 있을 때 시험관이 내걸은 시제가
"유아무와
인생지한"이란 여덟글자이었다. 다른 사람들은 그게 무엇을 의미하는지를 생각하고 있을 때,
이규보는 왕이 계신 곳을 향하여 큰 절을 한 번 올리고 답을 적어 냄으로써
장원급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