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3.1

오 늘 은 삼 일 절 



상해 대한민국 임시정부 요인들
최초의 애국가
우리나라 최초의 공식 애국가
상제는 우리 대한을 도으소서
독립부강하야 태극기를 빛나게 하옵시고
권이 환연에 떨치어 오천 만세에
자유가 영구게 하소서
상제난 우리 대한을 도으소서
상제는 우리 대한을 도으소서
독립부강하야 태극기를 빛나게 하옵시고
권이 환연에 떨치어 오천 만세에
자유가 영구게 하소서
상제난 우리 대한을 도으소서
그 전에는 주로 스코틀랜드 민요이자
석별의 정이라는 제목으로
연말이나 졸업식장 등에서 많이 불려
익숙한 "올드랭사인"의 멜로디에 가사를 붙인
애국가가 불리워졌다.
최근에는 2005년도에 KBS 연예오락 프로그램인
"스펀지"를 통해서 "
하와이에는 우리나라 최초의 (애국가)가 있다" 라고
소개된 바 있다.

꽃이 먼저 알아 -한용운
옛집을 떠나서
다른 시골에서 봄을 만났습니다
꿈은 이따금 봄바람을 따라서 아득한
옛터에 이릅니다
지팡이는 푸르고 푸른 풀빛에 묻혀서
그림자와 서로 따릅니다
길가에서 이름도 모르는 꽃을 보고서
행여 근심을 잊을까 하고 앉았습니다.
꽃송이에는 아침이슬이 아직
마르지 아니한가 하였더니
아아
나의 눈물이 떨어진 줄이야 꽃이 먼저 알았습니다
오늘은 三一節입니다
강제적인 일제 통치의 굴레를 벗어나
자주 독립을 목적하여
반항한 민족적인 의거의 날입니다
己未年에 손병희 등 33인이 민족 자결주의의 思潮에 따라
일본의 쇠사슬에서 벗어나고자 그 해
3월1일 서울의 탑골공원에서
독립선언서를 발표하고
示威운동을 한 날이지요
우리 이 날을 기억하며 모두 가정마다
태극기를 달고
나라의 소중함을 깨닫는 하루가
되시기를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