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은 세월호 침몰 사건이 나자 연안 해운의
문제점들을
적나라하게 추적,
폭로한다.
朴槿惠(박근혜)
대통령도 해양수산부의 문제들을 도려내라고 지시하였다.
이렇게
함으로써 운항 안전 시스템이 보강되어 미래의 사고를 막는 역할을
한다면
이번에
희생된 분들의 죽음은
헛되지 않는 것이 된다.
언론의 폭로는 사람들이
더 안전한 생활을 하도록 하는 데 기여하는 측면이 있지만,
언론이
全知全能(전지전능)한 존재인 것처럼 행세하면서
정부와 공무원들을
두들기는 데는 최소한의 직업 윤리가 필요하다.
한국의 기자들은 2만5000명이나 된다.
이들은 세월호 같은 위험한 배가 다니는 것을
몰랐던가, 정부 기관의 감시와 지도에 문제가
있다는 것을 몰랐던가?
해양수산부 출입
기자들은
반성할 점이 없는가?
인천항과 제주항 담당 기자들은 세월호 같은 연안
여객선의
위험성을 몰랐던가? 船社(선사)와 정부기관이
유착,
안전을 희생시키는 '덮어주기' '봐주기'를
관행적으로 하는 것을 몰랐던가? 몰랐다면 무능하고 게을렀던 것이고,
알고도 덮었다면 유능한데 타락하였다는 뜻이다.
언론은 정부를 비판하는 노력만큼 자기 반성도 해야 할 것이다. ...........................................................................
나도 기자생활을 44년째 하고 있지만 한국의
기자들처럼
능력에 과분한 영향력을 행사하는 職種(직종)은 드물 것이다.
朝鮮朝(조선조) 이래
언론인은 권력의 일부로서 과도한 역할을
해온
전통이 있다. 그런 전통을 계승한 듯한
'양반 기자'들이
위험한 시리아 內戰(내전) 취재는
사양하고 안락한 서울에
앉아서 대통령 위에 있는 인사권자나 되는 것처럼
예사로 국정원장을
잘라야 한다는 글을
쓰고,
대통령이 자기 말을
듣지 않는다고 시비를 건다.
사회부 기자가
오보하였다고 언론사 사장이 그만 둔 적이 있나.
파출소장이 구속되었다고 경찰청장을 해임하나? 사실엔 약하고 論(논)엔 강한 것이 한국 언론의 병폐이다.
사실을 캐기는 힘들지만 논평은
편하고 근사한 것처럼
보인다. 盧泰愚(노태우) 대통령 시절 고참 기자들이 모인 자리에서
청와대 출입기자가 하던 말이 생각 난다. "한국이 가장 빨리 망하는 방법은
야당이 하자는 대로 하는 것이다.
두 번째 빨리 망하고 싶으면
신문 社說(사설)이
하자는 대로 하면 된다." 한 광역 지방자치 단체의 전 대변인은 기자 출신인데 "내가 맡아야 할 기자가 1000명이
넘었다"면서 기자들의
횡포가 국가 발전의 큰 부담이라고 지적했다.
한국의 기자들은 2만
명이
넘는다. 이들이 거짓
선동과 왜곡 날조된 정보를 공급하여
불평과 불만을
확산시키면 국민의
정신건강과 분별력이 망가진다. 김일성 생일을 태양절이라고 표기하고,
最大(최대)와 最長(최장)을 구별 못하고,
대통령 이름도 한자
本名(본명)대로 쓸 줄 모르는 언론의 주장은
일단 평가절하해야
안전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