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담에 숨어있는 건강비결

[그림 : 삶의 향기가 그윽한 우리네 옛 정]
어느
나라 어느 민족이든지
건강을
제일 중요한 삶의 덕목으로 친다.
“재물을
잃는 것은 조금 잃는 것이요,
친구를 잃는 것은 많이
건강을 잃는 것은 다 잃는
것이다”
라는 서양 속담이
그러하고
“복 중에는 건강 복이
제일”
이라는 우리 속담도 이를 대변해
준다.
그렇다면 속담은 그것만으로 그치는
것일까.
의학 발전에 따라 속담에
숨어있는
건강 덕목의
과학적 의미가 재해석되는 경우도 있다.
속담에 숨어있는 건강 비결과 건강 정보를 알아본다.

◆ 동가식(東家食)
서가숙(西家宿) 한다
동쪽에서 밥먹고 서쪽에서 잠자는 등
청소년과
20·30대는 피자·햄버거 등
패스트푸드를
자주 먹어
권장치를 넘고 있다.
신선한 과일과 야채,
동양식 식단을 권장한다.
반면 한국인에게는
2배 가까이 많다.
온돌문화와 관련 있다.
서구식 생활이 권장된다.

먹은 음식이 양에 차지 않을 때
일단 소화되면 위장과
소장의
각종
영양소의 최종 산물을
저장했다가
필요할 때마다

과음으로 인한 폐해를 경고하는
속담이다.
고(高)음주그룹은
28%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뇌졸중 등의 위험성을 줄여준다.
하지만 미국 보건성이 내린 적당한
술의 의미는

철없는 행동을 하거나 과욕을
쓰는 말이다.
일부 흡수되고 나머지는
액체 상태를 유지케하여 소화를 도와준다.
또 대장의
연동운동 기능이 떨어져 생기는
‘이완성
변비’는 주로
중·장년층에게 흔한 데,
일으키기 때문에 변비 해결에 도움이 된다.
연구팀이 조사한 결과,
면역세포가 늘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이 하루 식사를 굶긴
4배나 증가했다.
몰아내는 활동을 펼치는 것이다.

지나치게 인색한 사람을 질타하는 속담이지만,
풀어볼 수 있다.
항암식품 1위에 올라있다.
또한 마늘의 독특한 냄새를 일으키는
몸에 침투한 각종 세균이나
콧구멍에 넣은 것은 일리가 있는 셈이다.

10년 지기 병이 낫는다
최근 인기를 끌고 있는 봉독약침의
볼수 있는 속담이다.
꿀벌의 독(봉독)에는 멜리틴·
유효한 성분들이 많아
의서에 봉독이 치료 목적으로 사용됐다는
기록이 남아 있다.
영양학 교과서에는
성인이 돼서 편식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는 것을 말한다.
머리 뒤쪽에 가해진 충격이더라도
뇌를 받치고 있는
두개골의 바닥(두개기저부)이 골절될 수 있다.
위험한 상황이 된다.

스트레스와 복통이 연관된 것으로 해석된다.
위장으로 가는 혈류가 감소, .

작은 병이 점점 더 도져서 큰 병이 된다는 뜻이다.
치료할 수 있고
오래 산다는 말도
중병도 조기에 발견,
바로바로 치료받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 김철중 의학전문기자 -
(옮겨온 글)
'믿음의 형제 > 속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욕설에 담긴 재미있는 속담. (0) | 2014.06.04 |
---|---|
속담에 담긴유머/싸가지 없는 며느리 교육 (0) | 2014.02.03 |
회춘과 건강의 비결 (0) | 2013.10.05 |
야망을 성취히기 위해 (0) | 2013.05.21 |
인내는 강한 의징서 나오고 (0) | 2013.04.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