믿음의 형제/1년24절기

입춘

핵무기 2013. 2. 6. 08:55

    입춘(立春)/ 2월 4일(월)



    정월(正月)은 맹춘(孟春)이라

    입춘(立春) 우수(雨水) 절기(節氣)로다

    산중(山中) 간학(澗壑)에 빙설(氷雪)은 남았으니

    평교(平郊) 광야(廣野)에 운물(雲物)이 변하도다

    -농가월령가 정월령-

    봄을 기다리는 것이 어찌 우리 사람들뿐이겠는가.

    겨울 내내 굶주린 새들이, 짐승들이, 산천초목들이

    다 함께 기다리고 있는 것이 봄이다.
    그렇게 기다리던 봄이 시작된다는 입춘(立春)이 2월 4일(월)이다.


    24절기 중에 1년 중 가장 추운 날이 언제일까?
    그것을 기상청이 1971년부터 2000년까지

    30년 동안 서울을 기준으로 하여 분석하여 보았더니

    그 평균값으로 보아 가장 추운 날은 입춘(立春) 무렵인 2월 4일로

    영하 -7.5도이었다 한다.

    그 다음이 대한이고, 그 다음이 소한이라 한다.

    그래서 '입춘(立春) 추위 김장독 깬다.'라는 속담이나,

    '꽃샘 추위'란 말이 생겼나 보다.
    통계가 과학이라면 '대한이 소한집에 놀러갔다가 얼어죽었다'라는

    속담은 옛이야기가 되고 만 것일까.

    절기란 한 해를 스물 넷으로 나눈 기후의 표준점으로,

    한 달에 2번 15일∼16일마다 바뀐다.
    1년 중 한 해 24절기의 시작인 입춘은

    대한(大寒)과 우수(雨水) 사이에 있다.

    금년 2월 18(월)일이 대동강 물도 풀린다는 우수(雨水)다.

      이 무렵 오는 비는 얼은 땅을 녹여 적시며 따뜻한 봄을 재촉하는

      비로, 겨울 내내 굶주린 동물을 깨우는 계절이 시작되는

      비 이기도 하다.

      옛사람들은 입춘 날부터 5일씩마다 동풍이 언 땅을 녹이면,

      동면하던 벌레가 움직이기 시작하고,

      물고기는 비로소 얼음 밑을 돌아다닌다고 하였다.

      절기의 전날을 절분(節分)이라 하는데

      입춘(立春) 전날 밤을 '해넘이'라 하는 것을 보면

      계절의 시작인 입춘을 새해처럼 기다렸던 것 같다.

        해넘이 날에는 방이나 문에 콩을 뿌렸다.

        콩이 새해 액운(厄運)을 막아 준다고 생각해서이다.
        입춘 날 복(福)을 비는 풍속 중에 입춘서(立春書)가 있다.

        대문이나 기둥에 두 줄로 '立春大吉 建陽多慶(입춘대길 건양

        다경), 國泰民安 家給人足(국태민안 가급인족), 掃地黃金出

        開門萬福來(소지황금출 개문만복래)' 등을 써 붙인다.
        더 적극적으로 복을 비는 풍습도 있었다.
        남 몰래 냇가의 징검다리에 돌을 놓아주던가,

        헐벗은 이에게 옷가지를 도와 주던가, 병자를 돕던가,

        부처님께 염불 공덕하던가 하는 적선공덕의 미풍이다.
        이것은남을 돕는 착한 일로 덕을 쌓아

        연중 액(厄)을 면하여 복을 받고자 하는,

        우리가 계승하였으면 하는 미풍 양속이다.

        입춘 날 비가 내리면 만물을 소생시킨다 하여 반기었고,

        그때 받아둔 물을 입춘수(立春水)라 하여 부부가 마시고 동침하면

        아들을 낳는다 하여 소중히 여겼다.
        이물로 술을 담가 먹으면 남정네의 양기가 좋아지고,

        이 물로 엿을 고아 먹으면 그해의 백가지 병을

        막을 수 있다고도 하였다.

        '아홉 차리'하면 복이 온다고 하는 풍습도 있었다.
        입춘을 전후하여 각자가 맡은 일을

        아홉 번씩 되풀이하는 세시민속(歲時民俗)이다.
        서당 아이들은 천자문(天字文)을 아홉 번 읽고,

        나무꾼은 아홉 짐의 나무를 하고, 노인들은 아홉 발의 새끼를 꼬고,

        계집아이들은 아홉 바구니의 나물을 캐고,

        밥도 이 날만큼은 하루 아홉 번을 먹는 것이다.

        옛사람은 홀수를 좋아하였다.

        음양이 조화가 되는 수가 홀수였기 때문이다.

        그중9란 숫자는 어떤 경우의 합(合)이라도 음양의 조화가 된다하여

        제일 좋아하는 숫자였기 때문이다.

        정초가 되면 토정비결을 보듯이

        입춘(立春)에는 길흉을 점쳐보는 풍습도 있었다.

        그 중에 보리뿌리를 뽑아보고 풍년을 점치기도 하였다.
        여인이 목욕재계 소복 단장하고

        지신(地神)에게 세 번 절한 뒤에 보리뿌리를 뽑아 보는 것이다.
        그래서 뽑은 뿌리가 세 가닥이면 풍년, 두 가닥이면 평년,

        한 가닥이면 흉년이 든다고 믿었다.
        또, 쌀, 보리, 콩, 조, 기장의 오곡의 씨앗을

        함께 섞어 솥에 넣고 볶는다.

        맨 먼저 솥 밖으로 튀어나오는 곡식이

        그해의 풍작이라고 믿기도 하였다.

        봄이 오고 있다.


      1.

      '믿음의 형제 > 1년24절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24절기의 유래와 시기   (0) 2013.02.15
      설 차례상과 세배법.  (0) 2013.02.08
      입춘  (0) 2013.02.03
      대한  (0) 2013.01.21
      대설  (0) 2012.12.10